Nintendo Switch/룬 팩토리 4

[ルーンファクトリー4] (룬 팩토리 4) 각종 공략 모음

콩제독 2025. 8. 16. 17:21

 

>> 각종 팁

 

- 상태이상 저항 스킬은 2레벨당 1%, 총 49%의 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장비에 50% 이상의 상태이상 저항은 할당 할 필요가 없으나

흡수 만큼은 스킬로 저항이 불가능하므로 다이아몬드 브로치의 성능에 빛이 바래지는 않는다

 

- 빛나는 광석 (메시아라이트)

채광 스킬이 50 이하면 마야 산길 동굴에서만 나오고

채광 스킬이 50 이상이면 모든 지역의 광맥에서 나온다 

 

>> 돈벌기

 

 

>>> 파인 주스

파인애플 10레벨을 찍었다면 가장 접근성이 괜찮은 방법

파인 주스 10레벨은 13,200G 에 팔리기 때문에, 파인애플 사다가 그대로 만들어만 팔아도 순이익이 나온다

때문에, 이 시기부터 돈이 부족한 일은 없어진다. 출하 상자도 최대로 늘려놓고 왕창 만들어 팔자

 

 

 

 

 

 

>> 종결 장비 제작법

>>> 농기구 (!! 괭이 / 물뿌리개 한정 !!)

괭이 / 물뿌리개에 (빛나는 광석 + 신목의 낚싯대) 어레인지를 하면 된다

이러면, 특수 어레인지 판정으로 둘의 매커니즘이 섞여서

최대 충전시 물뿌리개의 RP 소모가 0이 되는데다, 신목 낚싯대의 4차지도 인계받아서 8X8 영역에 물을 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도구는 내부적으로 낚싯대 판정인지라, 도구의 자체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낫의 경우 작물 레벨 업 상한 효과, 망치의 경우 채굴 스킬 보정 효과 등등이 무효)

 

따라서, 순수하게 작업에만 쓰이는 괭이 / 물뿌리개 정도에만 적용 가능한 방법

 

 

 

 

 

 

>>> 방어구 (예시 - 룬 실드)

1. 아무 방패에다가 (물체 X * 3개)를 넣고 어레인지

2. 아무 방패를 재료로 룬 실드 제작

3. 2의 룬 실드를 10강까지 강화 후, 레어리티를 채운 외형 장비를 제작

{스몰 실드를 예시로 들면, 용환석 (재료) + 무력의 사과 * 4 + 2의 룬 실드}

{여기까지 물체 X와 무력의 사과를 왕창 넣은 이유는, 세이브로드 좀 덜하려고

극악의 세이브 로드는 나중에 전체 품질 10 장비 만들때나 하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지금은 사과 팍팍 쓰자}

4. 3의 방패에 전 속성 내성 +20%가 정상적으로 들어갔는지 확인 후, 아래를 강화

 

1) 무력의 사과

2) 무력의 사과

3) 물체 X

4~7) 4색 코어 1개씩

8) 자율

9) 10배 철

 

8) 의 자율은 보통 방패진실의 석판을 넣는다. 이유는 진실의 석판이 가장 깡스탯이 딸리기 때문에

손검 제외 무기의 방패 50~0% 스탯보정은 스탯만 적용되지, 내성이나 이런 치명같은 경우는 무기 무관하게 100% 정상적으로 반영된다. 따라서 치명 확보는 방패에 짬처리가 좋다

 

나머지 방어구는 지룡의 비늘 / 화룡의 비늘 적당히 쓰까넣어서 완성. 내가 도전하는 난이도에 맞게 설정하자

또한, 만약 방어구 최종, 드래곤 베스트 + 룬 실드 2개를 다 쓴다면, 장비 중 하나에는 무력의 사과를 1개 빼도 흡수가 맞춰진다

거기에 비늘이나 치명 저항 같은거 발라주면 굿

 

>> 스킬 랭작 방법

 

 

>>> 낚시 스킬 [조건 X]

물건을 물에 던진 다음, 낚싯대를 던졌다가 올리면 그 물건이 낚이는데

이게 낚시 성공 판정이라 낚시 겅험치가 들어간다

 

따라서, 물건 물에 던지기 -> 낚싯대 던졌다가 바로 회수 -> 회수한 물건 던지기... 를 반복하면 엄청나게 빠르게 올릴 수 있다

 

>>> 중독 ~ 감기 저항 스킬 [3부 이후]

아무 에 다음과 같이 강화

 

{반짝이는 휘석: 반짝이는 나무 벌채 (나무 씨앗 획득 장소에서 랜덤 등장), 노래가 담긴 빈 병: 세이렌 격파 후 낚싯대로 건지기}

{대단한 고철: 제련 실패 시 랜덤 획득}

0. (반짝이는 휘석 * 2, 노래가 담긴 빈 병)

1. 노래가 담긴 빈 병

2. 10배철

3. 반짝이는 휘석

4. 2배철

5. 대단한 고철

 

 

 

 

 

>> 추천할 만한 룬 어빌리티

https://wikiwiki.jp/rf4bu/ルーンアビリティ

룬 어빌리티의 등장 장소는 여기를 확인

>>> 범위 (추천)

== 스트러글 리퍼 (창, 분홍)

계수 1.65, 전방을 휩쓰는 공격을 날린다

발동 속도 괜찮고, 범위 넓고, 대미지 나쁘지 않고, 거기에 짧은 확정 넉백 효과도 있어 넉백 저항 없는 애들은 어버버 하다가 계속 맞는다

RP 충분해지면 기본 콤보보다 이걸 평타 느낌으로 스팸해도 될 정도로 고성능 어빌리티

 

== 사이클론 (권, 하늘)

짧은 거리를 돌진하면서 휩쓰는 4타 공격

돌진기 특성상 활용하기 조금 귀찮지만, 방향 조절도 되고 사방팔방 날아다니는 적 상대하기도 용이하다

잡몹이 1타로 잡히면 스트러글 리퍼, 아니면 사이클론을 사용하자

 

>>> 단일

== 일심일도 (대검, 분홍)

전방으로 돌진하면서 4타

왜 돌진기인데 단일기냐? 하면 방향 조절도 안되는데 범위가 생각보다 좁기 때문

단독으로 사용하면 후딜이 엄청 길지만, 다른 기술 or 평타를 사용하면 후딜이 캔슬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다른 기술의 이니시 느낌으로 사용하는 쪽을 추천

 

 

== 돌려 베기 (쌍검, 노랑), 회전 베기 (쌍검, 갈색), 백열권 (권, 노랑)

이쪽은 카이팅용 기술들. 평타 치고 빠지기 보다는 편하나, 판정 자체에는 하자가 좀 있어 잡몹용으로는 부적절

 

- 돌려 베기 : 앞으로 길게 찌르는 3타

전방 판정이 길어서 거리 조절만 잘하면, 보스 평타는 안맞고 나만 공격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격 가능

다만, 정말 전방 판정 말고는 좌우가 텅텅 비어있기 때문에 잡몹전에는 못써먹는다

 

- 회전 베기 : 뒤로 물러나면서 베는 기술

스킬 자체에 카이팅 성능이 달려있다. 후퇴 거리가 짱짱해서 근접평타는 확실히 피해지나

그만큼 모션 자체가 길기도 하고, 원래 잡몹 용도로 설계된 기술인지라 보스 상대로는 2~3타 정도가 한계라 딜이 좀 약하다

 

- 백열권 : 순식간에 5타 때리는 기술

선딜+시전시간+후딜 전부 없다시피한게 이 기술의 최고 강점이다

범위가 상당히 좁으나, 히트박스가 큰 보스 기준이면 그럭저럭 상쇄되는 단점

근데 카이팅 용도보다는, 배석 노가다나 상태이상 저항작 용도로 더 자주 사용되는 스킬

 

 

== 정권 지르기 (권, 파랑)

계수 4.00, 차지 후 공격을 날린다. 클릭으로 발동하면 자동으로 나가고, 홀드하고 있으면 원하는 시점에서 공격 가능

이 기술의 진가는, 방어력이 높은 적도 억지로 뚫고 나갈 수 있다는 점

룬팩4의 대미지 공식은 (공격력-방어력)의 차이값 느낌으로 결정되는데, 계수가 워낙 높다보니까 유사 방어력 무시 효과가 나온다

다만 방어력 뚫기는 (치명 저항이 높은 적 제외하면) 치명으로 뚫으면 되기 때문에 조금 아쉬운 부분

 

>>> 돌진

== 엑셀 디재스터 (창, 회색)

화면 절반 이상의 거리를 초고속으로 돌진한다

공격 판정은 하자가 좀 있지만, 돌진 판정 자체만으로는 1타. 

 

>>> 특수

== 스카이 허리케인 (창, 초록), 어퍼컷 (주먹, 초록)

둘 다 에어본 효과가 있다. 잡몹 상대로는 특효어빌

단순 에어본 이니시 용으로만 사용할꺼면 어퍼컷 쪽을, 에어본으로 1:1 잡몹 확정킬을 노릴꺼면 스카이 허리케인을 차용하자

 

 

 

 

>>> 원거리

파워 웨이브 (한손검, 초록)

전방에 적을 관통하는 검기를 날린다

범위가 좋아서 근접캐의 원거리 평타 느낌으로 쓰는 기술

단, 마법과 다르게 장해물에 가로막혀서, 완전히 마법 대체로 쓰기에는 한끝 부족한 기술이다

 

 

 

 

 

 

 

반응형